목록2025/04/21 (3)
개발지식 먹는 하마 님의 블로그

로그인 관련 처리와 같이 공통으로 처리해야 하는 로직들이 있다.이러한 공통 로직은 Filter, Interceptor, AOP를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사용 범위는 제한적이지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요소들이다.이 셋은 동작 시점, 목적, 사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Request가 들어올 때, Filter ➡️ Interceptor ➡️ AOPResponse가 나갈 때, AOP ➡️ Interceptor ➡️ Filter FilterRequest, Response를 걸러서 전달한다.Servlet 기반, Dispatcher Servlet 이전에 동작한다.클라이언트 → 서버로의 요청 전/후에 처리여러 필터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연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인코딩 처리, 로깅, 보안 검사, 인증, CORS 등을 위..
Test Code에서 라이브러리가 일부 import 되지 않는 이슈main 코드에서만 적용되도록 설정된 Gradle부분을test에서도 적용되도록 변경하였다.Jwt Filter Url 이슈

User의 정보를 담은 Token을 쿠키에 담아 사용하기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성공 시, 유저의 Id, email, userRole(권한)을 담은 토큰이 문자열로 반환되도록 설계되어있었다.@Getter public class SigninResponse { private final String bearerToken; public SigninResponse(String bearerToken) { this.bearerToken = bearerToken; } }Barere Token을 문자열 형식으로 반환하고 있었기 때문에Postman에서 직접 Authorization을 입력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이를 쿠키에 Token을 담아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publ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