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3/20 (3)
개발지식 먹는 하마 님의 블로그

Spring 기초 강의 수강을 마쳤다.방대한 내용을 흐름과 관계를 중심으로 이해하고 싶어 별도의 글로 작성하였다.아직 세부적으로 정리할 내용이 많이 남았지만 이렇게 정리하면서 각 요소들이 기억에 잘 남게 된 것 같다.https://devhippo.tistory.com/94 웹 서비스 구조 및 흐름을 비유와 함께 이해하기웹 서비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관계, 흐름, 각 요소의 역할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떠올릴 수 있도록특정 상황에 비유해 정리하였다.일부 내용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되었고 별도의 글에 자세히devhippo.tistory.com 📚 키오스크 프로젝트 피드백예외를 예외가 아닌 용도로 사용했기 때문에 아이디어는 좋았지만 적절한 방법은 아니라는 피드백을 받았다.내가 작성한 코드는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웹 서비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관계, 흐름, 각 요소의 역할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떠올릴 수 있도록특정 상황에 비유해 정리하였다.일부 내용은 간략화를 위해 생략되었고 별도의 글에 자세히 정리하였다.⚙️ Web Service웹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HTTP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작하는 서비스웹 서비스 구조는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게 운영 시스템과 굉장히 유사하다.다만, 일하는 직원이 전자기기 또는 어떤 개념으로 대체될 뿐이다.📌클라이언트 - 서버 간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로 다른 공간에 있는 고객과 가게는 인터넷으로 연결 되어있다.IP는 데이터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배달기사다. IP 주소와 Port 번호(동호수 같은 ..

API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페이스이다.문서 양식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이렇게 요청서를 작성해서 넘겨주면 그에 따라서 필요한 걸 드릴게요!라고 양식에 대한 규칙과 명령어를 정의한 것이다.📌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자원의 표현에 의한 상태 전달자원(데이터)을 이름으로 구분, 해당 자원의 상태(데이터 요청 시점의 자원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HTTP Method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Rest라 칭한다.🟩 구성 요소자원 : URI (URL + URN)표현 : 데이터를 주고 받는 형태, JSON, XML행위 : HTTP 프로토콜 MethodGET정보 요청POST정보 입력PUT정보 업데이트 ..